저는 종목을 계속 보유할건지 말건지 결정할때는 최소 지수 상승률 정도는 따라가는 종목은 보유하고 못따라가는 종목은 줄이거나 버립니다. (예외로 지수대비 부진한 종목을 살때는 제가 잘 알고 자신있는 종목만 합니다) 지수대비 강한지는 간단하게 볼 수 있어요 지수 차트를 보면 최근 저점대비 얼마나 오른지 보입니다. 코스닥, 코스피 14~15%정도 올랐네요.. 그럼 초대형주는 지수정도(15%) 베타값이 큰 업종이나 중소형주는 25~30%는 올라야 지수상승률 정도 따라온 종목이에요. 그럼 종목 차트를 보고 최근 저점 대비 얼마나 오른지 보면 지수대비 강한지 약한지 알수 있겠죠. 중장기로 강한 종목인지는 차트안봐도 52주 최저가 대비 얼마나 오른지만 봐도 알아요. 52주 최저가 대비 88%이상 올랐다면 상위 10% 종목 58%이상은 상위 20% 종목 42%이상은 상위 30% 27%이상은 상위 50% 주식으로 성공하려면 상위 30%종목을 게속 선택할수 있거나 못해도 상위 50%종목은 골라야하고 이것도 못하겠다면 가치투자를 하셔야 함. 여기 카페보면 차트좀 봐주세요~ 하는 분들이 많이 계신데 지수와 비슷하게 오른 종목은 차트 분석이란걸 할게 없어요. 개별모멘텀 없이 시장따라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시장 오르면 같이 오르고 빠지면 같이 빠져요. 차트 분석은 시장 대비 강한 차트가 그려질때 분석을 하는거죠. 왜 거래량이 붙었고 왜 시장대비 강한 종목인지... 최근 4월저점에서 변곡점이 나왔는데 시황에 큰 변화가 있긴 전에는 계속 이 흐름이 유지 될거에요.. 4월같은 폭락장 이후 섹터에 흐름이 한번 정해지면 다음 하락장까지는 거의 계속 유지됩니다. 그럼 지수대비 강한 종목이 조정이 나왔을때는 매수를 하고 약한 종목이 반등이 나왔을때는 손절을 하거나 줄여야겠죠. 이제 짬밥 좀 드신 경력자들이시라 다들 아실텐데 아직 잘 모르는분들을 위해 요즘 한가해서 적어보았음..ㅋ
|